투상의 사전적 의미는 일정한 법칙에 의해서 대상물의 형태를 평면상에 그리는 것이며, 그 결과를 투상도라 합니다. 투상법의 종류에는 정투상, 축측투상, 경사투상, 투시투상 등이 있고 원칙적으로 정투상법이 가장 많이 쓰이며 물체의 모양이 복잡하거나 정투상법으로 실제의 모양과 치수를 알기 어려울 경우 보조화법을 사용하는데 그 투상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투상에 사용되는 선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 보조 투상법의 종류
1. 회전 투상도
각도를 가진 물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 부분을 회전해서 나타낸다.
2. 보조 투상도
경사면을 지니고 있는 물체에 그 경사면의 실제 모양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때 경사면과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경우 전체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필요한 부분 일부분만 투상 하여도 된다.
3. 국부투상도
대상물이 구멍, 홈 등과 같이 한 부분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 사용한다.
4. 부분 확대도(부분 상세도)
특정한 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그 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낼 수 없거나 치수 기입을 할 수없을 때에는 그 부분을 가는 실선으로 둘러싸고 한글이나 알파벳 대문자로 표시한다.
가상도
가상선을 사용하여 물체의 부분을 가상으로 나타낸 도면을 가상도라 한다. 예로 작도된 도면의 제품이 어떻게 조립되는지 상대 부품을 가상산으로 표시해 준다. 도면의 중요치수는 조립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거리공차는 위치공차가 달라지기 때문에 가상도의 활용은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 투상에 사용되는 선
- 외형선
물체의 보이는 형상 부분을 나타 내는 선
선의 종류: 굵은 실선
선의 굵기: 0.7mm
- 은선
물체의 보이지 않는 형상의 부분을 나타 내는 선
선의 종류: 중간 굵기의 파선
선의 굵기: 0.35mm
-중심선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
선의 종류: 가는 일점쇄선 또는 가는 실선(일반적으로 일점 쇄선을 사용)
선의 굵기: 0.25mm
-치수선 & 치수보조선
치수를 기입하기 위한 선
선의 종류: 가는 실선
선은 굵기: 0.25mm
- 지시선
지시하기 위해서 쓰이는 선
선의종류: 가는 실선
선의 굵기: 0.25mm
-절단선
단면의 절단 위치를 표시하는 선
선의 종류: 가는 일점 쇄선을 사용하고 그 양끝 및 굴곡부는 굵은 실선으로 하며, 양끝에 투상의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를 붙인다.
선의 굵기: 가는 실선은 0.25mm, 굵은 선은 외형선의 1/2
-파단선
물체일부를 파단한 곳을 표시 또는 끊어낸 부분을 표시하는 선.
선의종류: 가는 실선
선의 굵기: 0.25mm
-가상선
글자의 표현 데로 투상에 없는 선을 표현한 선으로 인접 부분을 참고로 표시, 공구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나타낼 때 쓰임, 가동 부분을 이동 중의 특정한 위치 또는 이동한계의 위치로 표시하는데 쓰임, 가공전 도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 되풀이되는 위치를 표시함
선의종류: 가는 2점 쇄선
선의 굵기: 0.25mm
■ 알아두기
투상도를 작성함에 있어 중요시되는 부분이 정면도의 선정입니다. 정면도는 물체의 형태를 판단하기 쉬운 방향으로 선정하고 되도록이면 은선이 많이 나오지 않은 방향으로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물체의 특징, 모양, 치수 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면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면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도면이 간소화될 수 있고 작업자가 도면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다루지 않은 투상법도 있습니다. 다른 투상법에 대해서도 알아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 번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도면의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CAM과 관련되지 않은 글이라 하여 무시하고 넘어가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